목록분류 전체보기 (91)
직대딩 블로그

Python에서 List를 정렬할 때 자주 사용하는 함수에는 Sort()와 Sorted() 함수가 있습니다. 두 함수의 차이점에 대해 설명드리겠습니다. sort 함수 1. list_name.sort() 형식으로 사용됩니다. 2. list 자료형의 메소드입니다. 3. list의 원본값을 직접 수정합니다. sorted 함수 1. sorted(list_name) 형식으로 사용됩니다. 2. 파이썬 내장 함수입니다. 3. list의 원본 값은 그대로두고 정렬한 복사본을 반환합니다. 4. 문자열, 튜플, 딕셔너리, 제너레이터 등 모든 요소가 포함된 객체에 사용 가능합니다.
대표적인 정렬 알고리즘의 성능 비교 정렬 알고리즘 평균 시간 복잡도 공간 복잡도 특징 선택 정렬 O(N^2) O(N) 아이디어가 간단하다. 삽입 정렬 O(N^2) O(N) 데이터가 정렬되어 있을 때 가장 빠르다. 퀵 정렬 O(NlogN) O(N) 대부분의 경우에 가장 적합하고, 충분히 빠르다. 계수 정렬 O(N+K) (K는 데이터 중에서 가장 큰 양수) O(N+K) (K는 데이터 중에서 가장 큰 양수) 데이터의 크기가 한정되어 있는 경우에만 사용 가능하고, 매우 빠르게 동작한다. 정렬 알고리즘 핵심 아이디어 선택 정렬 가장 작은 데이터를 '선택'해서 정렬되지 않은 데이터 중에서 가장 앞쪽에 있는 데이터와 위치를 바꾸는 방법 삽입 정렬 데이터를 앞에서부터 하나씩 확인하며 데이터를 적절한 위치에 '삽입'하는..
요즘 인공지능에 대해 관심이 많았는데, 인공지능의 발전 역사를 쉽게 이해시켜주는 영상을 찾았다. https://youtu.be/eCKS_etvZyI 연구되던 50년 동안 실패했던 인공지능이 1990년 인터넷의 등장 이후 수많은 데이터가 쌓이며 그 데이터들을 학습하기 시작했다. 그렇게 딥러닝을 통해 인공지능이 강아지, 고양이를 식별할 수 있게 되었다. 그로 인해 우리는 인공지능이 사물, 자동차, 사람을 구별하며 주행하는 자율 주행 자동차를 꿈꿀 수 있게 되었다. 2022년 11월 30일 챗 GPT가 출시되었다. 인공지능을 제대로 사용할 수 있게된지 겨우 10년만에 이러한 시스템이 나왔는데, 앞으로의 미래가 기대되기도 하고 두렵기도 하다 .. 이제는 기계가 우리를 알아보기 시작했다는 거니까. 교수 본인도 살..

https://www.youtube.com/watch?v=ecsexOTHaVA&t=48s&ab_channel=%EC%98%A4%EB%AA%A9%EA%B5%90%EC%A0%84%EC%9E%90%EC%83%81%EA%B0%80 질문만 하던 사람들을 핑프라고 부른다. 이제는 질문을 '잘'하는 사람이 강점이 되는 시대가 온 것 같다. 기사써주고 헤드라인 뽑는 것도 놀라웠는데 엑셀함수랑 여행일정까지 상세하게 알려준다..; Chat GPT와 Bing AI를 섞어쓰면 어떤 작업을 하던 편의성이 몇배는 올라갈 것 같다..
1. Visual Studio에 copliot 이 탑재되는건 시간 문제임 (아마 올해 예상) 2. 20%의 뼈대를 본인이 잡으면, AI가 나머지 60~70%가량을 코딩해주는 시대가 올 것 (AI가 코딩해준걸 정교화시키고 틀린 하나를 고치는 느낌 ..) 3. 그리고 개발자는 디버깅을 통해 버그를 고치고 최적화 시켜면 됨.. -> 신입사원(인턴)이 필요없어질 것이다. -> 이제 주니어 레벨 개발자는 필요 없겠다 .. https://www.youtube.com/watch?v=raHxP5QI1LE&ab_channel=%EB%84%90%EB%84%90%ED%95%9C%EA%B0%9C%EB%B0%9C%EC%9E%90TV

1. 문자열 사용해보기 2. 여러줄 문자열 인식 3. '+' 연산자로 문자열 연결 4. '*' 연산자로 문자열 연산 5. len 함수로 문자열 길이 구하기 6. upper, lower, join 함수 실습 7. 아래처럼 문자열의 index를 잘라 원하는 부분들만 출력할 수 있습니다.
Lesson 17 정리 (네트워크 계층의 역할) 1. 서로 다른 네트워크 간에 통신을 하려면 라우터가 필요하다. 2. 랜 안에서는 MAC 주소만으로도 통신할 수 있지만 네트워크 간에 통신을 하려면 IP 주소가 필요하다. 3. 경로를 선택하고 목적지 IP 주소까지 어떻게 데이터를 전달할지 결정하는 것을 라우팅이라고 한다. 4. 라우팅의 라우팅 테이블에는 경로 정보가 등록되어 있다. 5. 네트워크 계층의 대표적인 프로토콜에는 IP가 있다. 6. 네트워크 계층에서는 캡슐화할 때 IP 헤더를 추가한다. Lesson 18 정리 (IP 주소의 구조) 1. 데이터를 다른 네트워크로 전달하려면 IP 주소가 필요하다. 2. IP 주소는 인터넷 서비스 공급자에게 할당받을 수 있다. 3. IPv4의 IP 주소는 32비트, ..
Lesson 12 정리 (데이터 링크 계층의 역할과 이더넷) 1. 이더넷은 랜에서 데이터를 정상으로 주고받기 위한 규칙이다. 2. 이더넷은 데이터 충돌을 막기 위한 규칙으로 CAMA/CD 방식을 사용한다. 3. CSMA/CD에서 CS는 데이터를 보내려고 하는 컴퓨터가 케이블에 신호가 흐르고 있는지 확인하는 규칙, MA는 케이블에 데이터가 흐르고 있지 않으면 데이터를 보내도 된다는 규칙, CD는 충돌이 발생하고 있는지 확인하는 규칙이다. Lesson 13 정리 (MAC 주소의 구조) 1. MAC 주소는 48비트 숫자로 구성되어 있다. 그중 앞쪽 24비트는 랜 카드를 만든 제조사 번호고 뒤쪽 24비트는 제조사가 랜 카드에 붙인 일련번호다. 2. 이더넷 헤더는 목적지 MAC 주소(6바이트), 출발지 MAC 주..
Lesson 9 정리 (물리 계층의 역할과 랜 카드의 구조) 1. 전기 신호에는 아날로그 신호와 디지털 신호가 있다. 2. 아날로그 신호는 전화 회선이나 라디오 방송에 사용되는 신호다. 3. 네트워크를 통해 상대방에게 데이터를 전송할 때 0과 1의 비트열은 전기 신호로 변환되어 전송된다. 상대방이 얻은 전기 신호는 다시 0과 1의 비트열로 복원된다. Lesson 10 정리 (케이블의 종류와 구조) 1. 트위스트 페어 케이블에는 UTP(Unshielded Twisted Pair) 케이블과 STP(Shielded Twisted Pair) 케이블이 있다. 2. UTP 케이블은 실드로 보호되어 있지 않아 노이즈의 영향을 쉽게 받는다. 3. STP 케이블은 실드로 보호되어 있어 노이즈의 영향을 매우 적게 받는다...
Lesson 6 정리 (네트워크의 규칙) 1. 통신하기 위한 규칙을 프로토콜이라고 한다. 2. 불어를 못하는 한국인과 한굴어를 못하는 프랑스인이라면 영어로 대화한다는 규칙을 정해서 대화할 수 있다. 3. 편지를 배송하기 위해서는 편지를 쓸 때부터 상대방에게 도착할 때까지 지켜야 하는 독립적인 여러 규칙을 거쳐야 한다. Lesson 7 정리 (OSI 모델과 TCP/IP 모델) 1. ISO(국제 표준화 기구)에서 OSI 모델을 제정했다. 2. OSI 모델은 7계층으로 위에서부터 응용, 표현, 세션, 전송, 네트워크 데이터 링크, 물리 계층이 있다. 3. 현재는 TCP/IP 모델을 사용하고 있다. OSI 모델은 7계층이지만 TCP/IP 모델은 4계층이다. 위에서부터 응용, 전송, 인터넷, 네트워크 접속 계층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