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대딩 블로그
모두의 네트워크 5장 요약 - 네트워크 계층 : 목적지에 데이터 전달하기 본문
Lesson 17 정리 (네트워크 계층의 역할)
1. 서로 다른 네트워크 간에 통신을 하려면 라우터가 필요하다.
2. 랜 안에서는 MAC 주소만으로도 통신할 수 있지만 네트워크 간에 통신을 하려면 IP 주소가 필요하다.
3. 경로를 선택하고 목적지 IP 주소까지 어떻게 데이터를 전달할지 결정하는 것을 라우팅이라고 한다.
4. 라우팅의 라우팅 테이블에는 경로 정보가 등록되어 있다.
5. 네트워크 계층의 대표적인 프로토콜에는 IP가 있다.
6. 네트워크 계층에서는 캡슐화할 때 IP 헤더를 추가한다.
Lesson 18 정리 (IP 주소의 구조)
1. 데이터를 다른 네트워크로 전달하려면 IP 주소가 필요하다.
2. IP 주소는 인터넷 서비스 공급자에게 할당받을 수 있다.
3. IPv4의 IP 주소는 32비트, IPv6의 주소는 128비트로 구성되어 있다.
4. IP 주소의 종류에는 공인 IP 주소와 사설 IP 주소가 있다.
5. IP 주소는 네트워크 ID와 호스트 ID로 나누어진다.
Lesson 19 정리 (IP 주소의 클래스 구조)
1. IP 주소는 A~E 클래스로 나누어지며 일반적으로는 A~C 클래스를 사용한다.
2. IP 주소의 클래스별 호스트 수는 A 클래스가 1677만 7214대, B 클래스가 6만 5534대, C 클래스가 254대다.
Lesson 20 정리 (네트워크 주소와 브로드캐스트 주소의 구조)
1. 네트워크 주소와 브로드캐스트 주소는 컴퓨터에 설정할 수 없다.
Lesson 21 정리 (서브넷의 구조)
1. 네트워크를 분할하는 것을 서브넷팅이라고 하고 분할된 네트워크를 서브넷이라고 한다.
2. 서브넷팅되면 구성이 '네트워크 ID + 호스트 ID'에서 '네트워크 ID + 서브넷 ID + 호스트 ID'로 변경된다.
3. 서브넷 마스크는 네트워크 주소와 호스트 주소를 식별하는 값이다.
4. 클래스별로 서브넷 마스크는 A 클래스가 255.0.0.0, B 클래스가 255.255.0.0, C 클래스가 255.255.255.0이다.
5. 프리픽스 표기법은 서브넷 마스크를 슬래시(/비트)로 나타낸다. 예를 들어 255.255.255.0을 프리픽스 표기법으로 나타내면 /24다.
Lesson 22 정리 (라우터의 구조)
1. 서로 다른 네트워크와 통신하려면 라우터가 필요하다.
2. 라우터는 네트워크를 분할할 수 있지만 스위치(레이어 2)와 허브는 분할할 수 없다.
3. 컴퓨터에서 다른 네트워크로 데이터를 전송하려면 기본 게이트웨이를 설정해야 한다.
4. 라우팅은 경로 정보를 기반으로 현재의 네트워크에서 다른 네트워크로 최적의 경로를 통해 라우터를 전송하는 방식이다.
5. 경로 정보가 등록되어 있는 테이블을 라우팅 테이블이라고 한다.
6. 라우터 간에 라우팅 정보를 서로 교환하기 위한 프로토콜을 라우팅 프로토콜이라고 한다.
용어 정리
네트워크 계층(network layer) : 네트워크 계층은 다른 네트워크와 통신하기 위한 경로 설정을 위해 라우터를 통한 라우팅을 하며 패킷 전송을 담당한다.
IP : 인터넷에 있는 한 컴퓨터에서 다른 컴퓨터로 데이터를 보내는 데 사용되는 네트워크 계층 프로토콜이다.
IP 주소 : 컴퓨터 네트워크에서 장치들이 서로를 인식하고 통신하기 위해 사용하는 주소다.
IP 주소 클래스 : IPv5에서 사용하는 주소 그룹에는 다섯 개가 있다. A, B, C 클래스는 네트워크 ID와 호스트 ID로 구성되며, D클래스는 멀티캐스트 주소로 사용된다. E 클래스는 필요에 따라 사용하기 위해 확보해놓은 것이다.
라우터 : 서로 다른 네트워크를 연결해 주는 장치로 현재의 네트워크에서 다른 네트워크로 패킷을 전송할 수 있도록 한다.
라우팅 : 네트워크에서 패킷을 목적지로 보낼 때 목적지까지 갈 수 있는 여러 가지 경로 중 한 가지 경로를 설정해 주는 과정이다.
라우팅 테이블 : 컴퓨터 네트워크에서 목적지 주소를 목적지에 도달하기 위한 네트워크 노선으로 변환시킬 목적으로 사용된다. 다른 네트워크로 가기 위한 가장 좋은 라우터의 정보를 가지고 있다.
서브넷 : 큰 네트워크를 분할해서 만든 작은 네트워크다.
서브넷팅 : 네트워크를 분할하기 위해 IP 주소의 구성을 변경하는 작업이다.
서브넷 ID : IP 주소의 네트워크 부분을 늘리기 위해 서브넷 마스크로 사용되는 비트로 서브넷 비트라고도 한다.
서브넷 마스크 : IP 주소의 네트워크 부분만 나타나게 하여 같은 네트워크인지를 판별하게 하는 마스크다.
멀티캐스트 : 한 컴퓨터(호스트)에서 패킷을 여러 컴퓨터로 전송하는 것을 말한다.
브로드캐스트 : IP 네트워크에 있는 모든 컴퓨터(호스트)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식이다.
총 정리
1. 서로 다른 네트워크 간에 통신하려면 라우터가 필요하다.
2. 네트워크 계층에서 캡슐화할 때 IP헤더를 추가한다.
3. IPv4 주소는 32 비트, IPv6 주소는 128 비트로 구성된다.
4. IP 주소의 종류에는 공인 IP 주소와 사설 IP 주소가 있다.
5. C 클래스 네트워크에서 최대로 할당할 수 있는 IP 주소는 128개다.
6. 네트워크 주소와 브로드캐스트 주소는 컴퓨터에 할당할 수 없는 IP 주소다.
7. 255.255.255.252를 프리픽스 표기법으로 나타내면 /30이다.
8. 라우팅은 경로 정보를 기반으로 현재의 네트워크에서 다른 네트워크로 최적의 경로를 통해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식이다.
9. 경로 정보가 등록되어 있는 테이블을 라우팅 테이블이라고 한다.
10. 라우터 간에 라우팅 정보를 서로 교환하기 위한 프로토콜을 라우팅 프로토콜이라고 한다.
'CS > 네트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모두의 네트워크 4장 요약 - 데이터 링크 계층 : 랜에서 데이터 전송하기 (0) | 2023.03.18 |
---|---|
모두의 네트워크 3장 요약 - 물리 계층 : 데이터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기 (0) | 2023.03.18 |
모두의 네트워크 2장 요약 - 네트워크의 기본 규칙 (1) | 2023.03.18 |
모두의 네트워크 1장 요약 - 네트워크의 첫걸음 (0) | 2023.03.18 |